위 테스트 결과에서...

  1. domain TX 발생 시 async, sync 차이가 있고 / global TX 발생 시 async , sync 차이가 없는 이유
  2. domain TX 발생 시 domain coordinator 위치에 관계없이 성능이 동일한 이유
  3. global TX 발생 시 global coordinator 위치에 관계없이 성능이 동일한 이유


[ DOMAIN TX 발생 시, ASYNC/SYNC간 성능 차이가 있고... GLOBAL TX 발생 시 ASYNC/SYNC간 성능 차이가 없는 이유 ]
CLUSTER_ASYNC_COMMIT... 이 프로퍼티...
(master와 slave간의 동기/비동기라고..? by son) domain coordi와 아닌놈들간의 동기 여부?


** 결론 **
CLUSTER_ASYNC_COMMIT은 "하나의 GROUP 내 에서만" 영향있는 애.
그러니까 coordinator와 coordi가 아닌 놈들 간의 sync 여부!!!!

global TX 발생 시 global coordinator간의 sync여부는
GLOBAL_TRANSACTION_ISOLATION_SCOPE
이 놈이 0이면 system, 즉 global 하게 동기화 하겠다는 뜻이고(global coordi 처리 확인)
이놈이 1이면 group, 즉 global 동기화까지는 안하겠다는 것.

위 테스트 [3.global TX 발생 시 global coordinator 위치에 관계없이 성능이 동일한 이유] 케이스는
논리적으로는 성능 차이가 나야한다. 슈터의 위치와 트랜잭션 성격이 같을 때
global coordinator의 위치가 슈터장비와 동일한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응답시간의 차이가 있어야한다.
테스트에서 차이가 없는것으로 나온건, 다른 소모자원이 커서 그 차이가 미비(오차범위 내)해서 그런것 아닐까 추측. 


'IT Engineer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lloc에 대한 내용  (0) 2019.02.14
coordinator 위치에 따른 성능테스트  (0) 2019.02.13
database cluster 개념  (1) 2019.02.13
Shared Nothing Disk  (0) 2019.02.13
goldilocks process  (0) 2019.02.13

+ Recent posts